책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은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이로 추천했다.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각 작품들은 초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타이핑해서 실었다. 초판본을 구하지 못한 작품은 원전에 가장 근접한 것을 사용했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렸고, 오기가 분명한 경우만 바로잡았다. 단, 띄어쓰기는 읽기 편하게 현대의 표기법에 맞춰 고쳤다.
1900년 평양 기림에서 태어난 주요한은 도쿄 유학생 선교 목사로 파송된 아버지를 따라 1912년 일본으로 건너간다. 요한은 문학에 심취해 있던 메이지학원 중학부 시절, 시인 가와지 류코(川路柳虹)에게 시를 배워 일어로 된 40여 편의 시를 발표한다. 이는 국문으로 쓴 그의 초기작 <니애기> <샘물이 혼자서>(≪학우≫, 1919. 1), <불노리>(≪창조≫, 1919. 2) 등보다 2년 이상 앞서 발표된 것이다. <불노리>의 시인이자 한국 근대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평가되는 요한의 시작(詩作)은 일본 유학 시절의 문학 체험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근대시 형성기에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꼽히는 <불노리>를 썼고 1979년까지 생존했지만, 그가 실제로 시 창작에 집중한 시기는 길지 않았으며, 일제 강점 말기에 발표한 대일 협력 시들을 고려할 때 주요한의 시사적 의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한국 시사에 의미 있게 평가되는 것은 <불노리>를 비롯한 몇몇의 시편들이 이루어 낸 성과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기(1912∼1919)를 일본에서 보낸 데다 문학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일문(日文) 시 창작 경험은 요한으로 하여금 근대적인 문학 형식과 감각에 눈뜨게 한 것으로 보인다. <불노리>는 이러한 경험 위에 식민지 문학 청년의 낭만적 감수성이 더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안타깝게도 그의 발군의 문학적 감각은 3·1운동 이후 상하이 망명으로 심화·확대되지 못한다. 1919년 5월 상하이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합류한 뒤, 요한은 이광수와 함께 ≪독립신문≫ 기자로 활동하면서 메시지가 강한 항일 저항시를 주로 창작하고 민족적 성격을 분명하게 하기 위한 시적 방법으로서 민요의 계승을 통한 민중시 운동을 주장한다. 1925년 귀국 후에는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에서 언론인으로 활동하면서 민중적 삶에 주목하는 시조 부흥 운동을 주창했는데, 이와 같은 요한의 행적은 근대적 시 창안에 선구적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생이 문학적 삶에 우선순위를 둔 것이 아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게다가 1930년대 후반부에는 기업인으로, 아울러 대일 협력의 적극적 가담자로, 해방 후에는 기업인과 언론인 그리고 정치인으로 활동함으로써 주요한의 문학이 주로 청년기의 성과임을 시사한다.
주요한의 문학은 대체로 네 시기로 나눌 수 있는데, 이러한 구분은 그의 생의 이력과 맞물려 있다. 이 시기 구분의 큰 경계는 1919년 상하이 망명과 1925년 귀국, 그리고 1937년을 전후로 한 대일 협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계에 따라 주요한 문학의 시기를 나누어 보면 첫째, 근대적 시 형식을 모색하고 발견하는 일본 유학 시절(∼1919), 둘째, ≪독립신문≫ 기자로 활동하면서 항일 저항시를 발표한 시기, 셋째, 상하이에서 귀국한 후 언론인으로 일하며 민요와 시조 등 시적 전통의 계승에 관심을 기울인 시기(∼1937), 마지막으로 일제 강점 말기 대일 협력 문학의 시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주요한이 한국어로 남긴 시는 250여 편인데, 그중에 네 번째 시기에 속하는 작품은 30편 정도다.
주요한 시 세계의 이러한 변화 과정은 일제 강점기 한국 근대 문학의 초상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것으로 우리는 요한 문학의 이력(履歷)에서 우리 시의 서늘한 내면 풍경을 생각하게 된다. <불노리>가 보여 주는 자유분방한 정념의 표출과 산문시 형식은 당대 한국 시의 수준을 비약적으로 갱신하는 경이(驚異)였지만 요한의 시는 오래지 않아 민요와 시조를 계승하고 발전시켜야 할 시적 전통으로 강조하게 되는데, 이는 일제 강점기의 민족 현실에 대한 문학적 응전의 필요성에서 기인한 것이지만 새로운 시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부족을 드러내는 증표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상하이 망명 이후 그의 시가 보여 주었던 항일 저항시의 면모들이 어떻게 일제 강점 말기 적극적인 대일 협력의 양상으로 환치(換置)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은 주요한의 시가 드러내는 한국 근대 문학의 결절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근대적 시에 관한 당대 시인들의 시 의식과 한국 시의 내면을 우리는 요한의 시와 삶에서 재삼 생각하게 된다.
200자평
<불노리>의 시인이자 한국 근대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주요한. 그의 시는 한국 근대시의 형성과 도약, 한계와 파행을 사유하게 만드는 결절점이다. 그의 시를 다시 들여다보아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은이
송아(頌兒) 주요한(朱耀翰, 1900∼1979)은 1900년 12월 5일(음력 10월 14일) 평양 기림리에서 목사인 아버지 주공삼(朱孔三)의 4남 4녀 중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소설가 주요섭(朱耀燮), 극작가 주영섭의 형이다. 송아지, 목신(牧神), 주락양(朱落陽), 벌꽃, 낙양(落陽) 등의 필명을 사용했으며, 일본명은 마쓰무라 고이치(松村紘一)이다. 평양숭덕소학교 재학 중이던 1912년 말 도쿄 유학생 선교 목사로 파견된 아버지를 따라 일본으로 건너가 1918년 메이지학원(明治學院) 중학부를 졸업하고 도쿄제일고등학교를 다녔다.
메이지학원 중학부 재학 시절 문학에 심취해, 시인 가와지 류코(川路柳虹)의 집을 드나들며 시를 배웠다. 1916년 10월 ≪문예잡지(文藝雜誌)≫에 <5月雨の朝>가 가작 당선된 후 1919년 2월까지 ≪아케보노(曙)≫, ≪수재문단(秀才文壇)≫, ≪반주(伴奏)≫, ≪현대시가(現代詩歌)≫ 등 일본 문예지에 40여 편의 일문 시(日文詩)를 발표한다. ≪청춘≫(1917. 11) 현상 소설 모집에 ‘낙양’이라는 필명으로 소설 <마을 집>을 투고해 2등 당선했으며, 1919년 1월 경도(京都) 유학생들이 발행한 ≪학우≫ 창간호에 <니애기>를 비롯해 5편의 시를, 같은 해 2월에는 김동인·최승만·김환·전영택 등과 함께 동인으로 참여한 ≪창조(創造)≫에 <불노리> 등 4편의 시를 발표함으로써 본격적인 시작 활동을 펼친다.
3·1운동 발발을 계기로 1919년 5월 상하이로 망명해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합류한 뒤 이광수와 함께 임시 정부의 기관지 ≪독립신문≫의 기자로 활동한다. 임시 정부가 와해 상태에 놓이자 임시 정부 관련 활동을 그만두고, 1925년 상하이 후장대학(滬江大學)을 졸업한 뒤 귀국해서 ≪동아일보≫ 취재기자·편집국장·논설위원, 그리고 ≪조선일보≫로 자리를 옮겨 편집국장·논설위원·전무 등을 역임한다.
1924년 첫 시집 ≪아름다운 새벽≫을 간행했고, 1929년에는 이광수, 김동환과 함께 ≪삼인작 시가집(三人作 詩歌集)≫을, 1930년에는 시조집 ≪봉사꽃≫을 상재했다. 안창호, 이광수와 교류했고 도산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흥사단과 수양동우회에 가입·활동하면서 실력 양성 운동과 사회 계몽 운동에 힘쓰다가,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체포되어 이듬해 이광수, 전영택 등과 함께 전향했다. 이후 일제 총독부 체제에 순응하면서 전시 체제기에는 조선문인보국회, 조선언론보국회 등의 단체에 가담해 적극적으로 대일협력 활동을 했으며, 제5회 조선예술상 문학상을 수상한 와카 형식의 일본어 시집 ≪손에 손을(手に手を)≫(1943, 박문서관)을 비롯해 다수의 친일 작품을 발표하기도 했다.
1935년 화신상회(和信商會)에 입사해 이사 등을 역임했고, 광복 후에는 기업인과 언론인, 그리고 정치인으로 왕성하게 활동했다. 광복 후에는 흥사단에 관여하면서 1945년 조선 상공회의소 특별위원에 선출되었고, 1948년 대한무역협회장, 국제문제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1954년 호헌동지회에 참여한 뒤 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1958년 서울 중구에서 민의원에 당선되었으며 1960년 5월 출마해 재선했다. 제2공화국 장면 내각에서 부흥부 장관,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5·16 이후에는 경제과학심의회 위원, 대한일보사 사장(1965∼1973), 대한해운공사 대표이사 등을 지냈다. 1979년 11월 17일 별세했다.
엮은이
김문주(金文柱)는 서울에서 태어나 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7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했다. 1995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해 <조지훈 시에 나타난 생명 의식 연구>로 석사 학위를, <한국 현대 시의 풍경과 전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 ≪서울신문≫(문학평론), 2007년 ≪불교신문≫(시)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2008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주관 제9회 ‘젊은평론가상’, 2011년 제6회 ‘김달진문학상젊은평론가상’을 수상했고, 2010년 ‘대산재단창작기금’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형상과 전통≫, ≪소통과 미래≫, ≪수런거리는 시, 분기하는 비평들≫, ≪백석 문학 전집 1·2≫(편저) 등이 있으며, 가천대와 고려대, 서울과학기술대와 숙명여대 등에서 강의했다. 현재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고 있으며, 계간 ≪서정시학≫과 ≪딩아돌하≫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차례
● ≪아름다운 새벽≫
니애기
샘물이 혼자서
복사꼿이 피면
꼿
눈ㅅ결
비소리
봄달 잡이
혼잣말
노래하고 십다
그 봄을 바라
우리 집
집이어, 나의 요람
녯날의 거리
그 봄의 부름
아츰 처녀
해의 시절
아기는 사럿다(1)
외로움
손님
푸른 하늘 아레
가을 멧견
삶
주금
삶, 주금
기다림(1)
기다림(2)
선물
하아햔 안개
홀로 안저서
上海 소녀
歌劇
불란서 공원
불노리
별 미테 혼쟈서
새벽꿈
눈
● ≪삼인작 시가집≫
가신 누님
북그러움
남국의 눈
아기의 꿈
자장가
노픈 마음
마른 남게 물 주는 은
가을은 아름답다
드을로 가사이다
령혼
사랑
田園頌
늙은 농부의 한탄
조선
채석장
보지 못한 님
봄ㅅ비
● ≪봉사꽃≫
빛갈 없고 말 업슨
물꽃
마음의 꽃
황혼의 노래
황혼의 노래
명령
금속의 노래
눈 오는 날
● 기타
노래여
햇빗가치
새 생활
나아가자
저녁이 되면
一日
山上曲
特急列車
뉴쓰 映畵
어머니날
아긍
島山 安昌浩 先生 追慕歌
발자취
묘지에서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목록
≪초판본 가람 시조집≫ 이병기 지음, 권채린 엮음
≪초판본 고석규 시선≫ 고석규 지음, 하상일 엮음
≪초판본 고원 시선≫ 고원 지음, 이석 엮음
≪초판본 고정희 시선≫ 고정희 지음, 이은정 엮음
≪초판본 구상 시선≫ 구상 지음, 오태호 엮음
≪초판본 구자운 시전집≫ 구자운 지음, 박성준 엮음
≪초판본 권구현 시선≫ 권구현 지음, 김학균 엮음
≪초판본 권환 시선≫ 권환 지음, 박승희 엮음
≪초판본 김관식 시선≫ 김관식 지음, 남승원 엮음
≪초판본 김광균 시선≫ 김광균 지음, 김유중 엮음
≪초판본 김광섭 시선≫ 김광섭 지음, 이형권 엮음
≪초판본 김규동 시선≫ 김규동 지음, 이혜진 엮음
≪초판본 김기림 시선≫ 김기림 지음, 김유중 엮음
≪초판본 김남주 시선≫ 김남주 지음, 고명철 엮음
≪초판본 김달진 시선≫ 김달진 지음, 여태천 엮음
≪초판본 김동명 시선≫ 김동명 지음, 장은영 엮음
≪초판본 김동환 시선≫ 김동환 지음, 방인석 엮음
≪초판본 김민부 시선≫ 김민부 지음, 김효은 엮음
≪초판본 김상옥 시선≫ 김상옥 지음, 최종환 엮음
≪초판본 김상용 시선≫ 김상용 지음, 유성호 엮음
≪초판본 김상훈 시선≫ 김상훈 지음, 남승원 엮음
≪초판본 김소월 시선≫ 김소월 지음, 이숭원 엮음
≪초판본 김억 시선≫ 김억 지음, 방인석 엮음
≪초판본 김영랑 시선≫ 김영랑 지음, 홍용희 엮음
≪초판본 김영태 시선≫ 김영태 지음, 권현형 엮음
≪초판본 김조규 시선≫ 김조규 지음, 추선진 엮음
≪초판본 김종삼 시선≫ 김종삼 지음, 이문재 엮음
≪초판본 김춘수 시선≫ 김춘수 지음, 이재복 엮음
≪초판본 김현승 시선≫ 김현승 지음, 장현숙 엮음
≪초판본 남해찬가≫ 김용호 지음, 김홍진 엮음
≪초판본 노자영 시선≫ 노자영 지음, 임정연 엮음
≪초판본 노천명 시선≫ 노천명 지음, 김진희 엮음
≪초판본 님의 침묵≫ 한용운 지음, 이선이 엮음
≪초판본 리욱 시선≫ 리욱 지음, 장은영 엮음
≪초판본 모윤숙 시선≫ 모윤숙 지음, 김진희 엮음
≪초판본 박남수 시선≫ 박남수 지음, 이형권 엮음
≪초판본 박노춘·함윤수 시선≫ 박노춘·함윤수 지음, 차선일 엮음
≪초판본 박두진 시선≫ 박두진 지음, 이연의 엮음
≪초판본 박목월 시선≫ 박목월 지음, 노승욱 엮음
≪초판본 박봉우 시선≫ 박봉우 지음, 이성천 엮음
≪초판본 박성룡 시선≫ 박성룡 지음, 차성연 엮음
≪초판본 박세영 시선≫ 박세영 지음, 이성천 엮음
≪초판본 박용래 시선≫ 박용래 지음, 이선영 엮음
≪초판본 박용철 시선≫ 박용철 지음, 이혜진 엮음
≪초판본 박인환 시선≫ 박인환 지음, 권경아 엮음
≪초판본 박재삼 시선≫ 박재삼 지음, 이상숙 엮음
≪초판본 박정만 시선≫ 박정만 지음, 조운아 엮음
≪초판본 박종화 시선≫ 박종화 지음, 최경희 엮음
≪초판본 박팔양 시선≫ 박팔양 지음, 추선진 엮음
≪초판본 백두산≫ 조기천 지음, 윤송아 엮음
≪초판본 백석 시전집≫ 백석 지음, 이동순 엮음
≪초판본 변영로 시선≫ 변영로 지음, 오세인 엮음
≪초판본 서정주 시선≫ 서정주 지음, 허혜정 엮음
≪초판본 설정식 시선≫ 설정식 지음, 차선일 엮음
≪초판본 송욱 시선≫ 송욱 지음, 신진숙 엮음
≪초판본 신석정 시선≫ 신석정 지음, 권선영 엮음
≪초판본 신석초 시선≫ 신석초 지음, 나민애 엮음
≪초판본 심훈 시선≫ 심훈 지음, 최도식 엮음
≪초판본 오규원 시선≫ 오규원 지음, 이연승 엮음
≪초판본 오상순 시선≫ 오상순 지음, 여태천 엮음
≪초판본 오일도 시선≫ 오일도 지음, 김학중 엮음
≪초판본 오장환 시선≫ 오장환 지음, 최호영 엮음
≪초판본 유완희 시선≫ 유완희 지음, 강정구 엮음
≪초판본 유치환 시선≫ 유치환 지음, 배호남 엮음
≪초판본 윤곤강 시선≫ 윤곤강 지음, 김현정 엮음
≪초판본 윤동주 시선≫ 윤동주 지음, 노승일 엮음
≪초판본 윤석중 시선≫ 윤석중 지음, 노현주 엮음
≪초판본 이광웅 시선≫ 이광웅 지음, 고인환 엮음
≪초판본 이동주 시선≫ 이동주 지음, 김선주 엮음
≪초판본 이상 시선≫ 이상 지음, 이재복 엮음
≪초판본 이상화·이장희 시선≫ 이상화·이장희 지음, 장현숙 엮음
≪초판본 이성선 시선≫ 이성선 지음, 김효은 엮음
≪초판본 이용악 시선≫ 이용악 지음, 곽효환 엮음
≪초판본 이육사 시선≫ 이육사 지음, 홍용희 엮음
≪초판본 이은상 시선≫ 이은상 지음, 정훈 엮음
≪초판본 이찬 시선≫ 이찬 지음, 이동순 엮음
≪초판본 이탄 시선≫ 이탄 지음, 이성혁 엮음
≪초판본 이하윤 시선≫ 이하윤 지음, 고봉준 엮음
≪초판본 이한직 시선≫ 이한직 지음, 이훈 엮음
≪초판본 이형기 시선≫ 이형기 지음, 정은기 엮음
≪초판본 임영조 시선≫ 임영조 지음, 윤송아 엮음
≪초판본 임학수 시선≫ 임학수 지음, 윤효진 엮음
≪초판본 임화 시선≫ 임화 지음, 이형권 엮음
≪초판본 장만영 시선≫ 장만영 지음, 송영호 엮음
≪초판본 전봉건 시선≫ 전봉건 지음, 최종환 엮음
≪초판본 정공채 시선≫ 정공채 지음, 오태호 엮음
≪초판본 정지용 시선≫ 정지용 지음, 이상숙 엮음
≪초판본 정한모 시선≫ 정한모 지음, 송영호 엮음
≪초판본 조명희 시선≫ 조명희 지음, 오윤호 엮음
≪초판본 조벽암 시선≫ 조벽암 지음, 이동순 엮음
≪초판본 조병화 시선≫ 조병화 지음, 김종회 엮음
≪초판본 조지훈 시선≫ 조지훈 지음, 오형엽 엮음
≪초판본 조향 시선≫ 조향 지음, 권경아 엮음
≪초판본 주요한 시선≫ 주요한 지음, 김문주 엮음
≪초판본 천상병 시선≫ 천상병 지음, 박승희 엮음
≪초판본 최남선 시선≫ 최남선 지음, 김문주 엮음
≪초판본 한하운 시선≫ 한하운 지음, 고명철 엮음
≪초판본 한흑구 시선≫ 한흑구 지음, 이재원 엮음
≪초판본 홍사용 시선≫ 홍사용 지음, 차성연 엮음
≪초판본 황석우 시선≫ 황석우 지음, 김학균 엮음
책속으로
●샘물이 혼자서
샘물이 혼자서
춤추며 간다
산골작이 돌 틈으로
샘물이 혼자서
우스며 간다
험한 산길 꼿 사이로.
하늘은 말근데
즐거운 그 소래
산과 들에 욷니운다.
●아츰 처녀
새로운 햇빗이어, 금빗 바람을 니르켜, 니르켜,
나의 몸을 부러 가라, 홧홧 달은 니마를, 을, 두 귀를-
나의 강한 애인에게 나의 ‘뜻’을 가저가면서.
이슬에 저즌 길이어, 빗나라, 빗나라, 나에 아페
스스로 가진 힘을 의심 업시 깨닷기 위하야.
빗나라 잠 깨기 시작한 거리거리어
불붓는 동편 하늘로 숨차게 거러갈 에.
아름다운 새벽이어 둘너싸라.
희고 흰 새벽안개여 더운 젓통을 씨스라
나의 깩끗한 살의 단 냄새가
모든 강한 애인의 가슴에 녹아들기 위하야.
아, 땅이어, 붓들라, 나를,
너의 질긴 플 줄기로 나의 버슨 발을 매어
시언치 아는 이 몸을 너의 플밧헤 끄러 업지르라.
이슬에 저즌 아츰이어, 빗나라, 빗나라, 그때에
안탁가운 나의 사랑을 뜨거운 그의 가슴에 비최기 위하야,
●아아 강물이 웃는다, 웃는다, 怪샹한, 우슴이다, 차듸찬 강물이 껌껌한 하늘을 보고 웃는 우슴이다, 아아 배가 올나온다, 배가 오른다, 바람이 불 젹마다 슬프게 슬프게 삐걱거리는 배가 오른다….
저어라, 배를 멀리서 잠자는 綾羅島까지, 물살 른 大同江을 저어 오르라. 거긔 너의 愛人이 맨발로 서서 기다리는 언덕으로 곳추 너의 뱃머리를 돌니라 물결 테서 니러나는 추운 바람도 무어시리오 怪異한 우슴소리도 무어시리요, 사랑 일흔 靑年의 어두운 가슴속도 너의게야 무어시리오, 기름자 업시는 ‘발금’도 이슬 수 업는 거슬-. 오오 다만 네 確實한 오늘을 노치지 말라.
오오 사로라, 사로라! 오늘 밤! 너의 발간 횃불을, 발간 입셜을, 눈동자를, 한 너의 발간 눈물을….
●북그러움
뒷동산에 꼿 캐러
언늬 따라 갓더니
솔가지에 걸니어
당홍 치마 찌젓슴네.
누가 행여 볼가 하야
즈름길로 왓더니
오늘따라 새 베는 님이
즈름길에 나왓슴네.
뽕밧 녑헤 김 안 매고
새 베러 나왓슴네.